XRP(리플) vs XLM(스텔라루멘) vs Pi(파이코인)

이 글에서는 금융 기관 간의 대규모 자금 이동에 초점을 맞춘 XRP(리플), 금융 포용성과 소액 결제를 목표로 하는 XLM(스텔라루멘), 그리고 개인 및 커뮤니티 중심의 Pi(파이코인)을 비교 분석했습니다. 각 프로젝트는 2012년부터 2025년 사이에 출시되어 고유한 시장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발행량, 거래 속도와 수수료 같은 기술적 측면부터 토큰 분배 전략,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디플레이션 및 인플레이션 요소, 그리고 주요 논란인 중앙 집중화 문제에 이르기까지 세 암호화폐의 구조적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XRP vs XLM vs Pi

XRP XLM Pi
출시 2012 2014 2025
일반 용도 금융 기관 간의 대규모 자금 이동 및 결제에 중점

전 세계 은행과 결제 시스템을 연결

서로 다른 법정 화폐 간의 변환 시 중간 매개체 역할

SWIFT 솔루션

금융 접근성이 낮은 지역이나 소액 결제 및 송금 시장에 중점

개인 및 소액 거래

금융 포용성 증대

기술적으로는 스텔라의 합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용도는 거의 비슷함
접근성 사용 허가를 받아야 하는 은행과 기타 금융 기관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누구나 시스템에 접근 가능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누구나 시스템에 접근 가능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디플레이션: 희소성이 증가함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매력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음. XRP의 거래 수수료가 소각되거나 유통에서 영구적으로 제거되기 때문 인플레이션: 연간 1%의 고정 인플레이션을 적용. XLM을 이용할 수 있는 사람들이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여전히 적절한 가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 파이코인은 기본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급량이 제한되는 형태를 띠고 있어 디플레이션 요소가 가치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발행량 1000억 개 500억 개 1000억 개
거래 완료 시간 약 3~5초 약 1~5초 약 3~5초
거래 수수료 P2P: 0.00001 XRP

거래소: 0.4 XRP

P2P: 0.00001 XLM

거래소:0.005 XLM

P2P: 0.01 Pi

거래소: 0.05 Pi(OKX)

토큰 분배

에스크로 예비 자금 45%: XRP의 공급을 관리하고 안정화하는 데 사용되는 잠긴 자금, 2017년 500XRP를 잠그고 매달 10억 개만 출금

설립자 및 초기 기여자 20%

리플 랩스 6.5%

기관 투자자 및 전략적 파트너 14%

커뮤니티 개발 및 보조금 10%

자선 기부 4.5%

스텔라 재단 5%

기업 또는 기관 파트너십 25%

비트코인 및 리플 보유자들에게 루멘을 배포 프로그램 20%

개인 사용자 대상 가입 프로그램 50%

커뮤니티 80%

메인넷 이전 채굴 보상 약 200억 Pi

메인넷 채굴 보상 약 450억 Pi

유동성 풀 예비금 50억 Pi

재단 예비금(보조금, 커뮤니티 이벤트) 100억 Pi

 

코어팀 20%

 

지갑 수 약 770만 계정 이상 약 750만 계정 이상 약 6000만 계정 이상

 

XRP(리플)

XRP(리플) 분배 전략에는 각각 10억 XRP 토큰을 담고 있는 55개의 스마트 계약이 포함됩니다. 이 계약들은 총 55개월에 걸쳐 매달 10억 토큰을 체계적으로 시장에 방출합니다. 그 결과 유통 공급량은 매월 10억 토큰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현재 유통량은 약 537억 토큰이며 나머지 토큰은 에스크로에 안전하게 보관되어 있습니다.

총 공급량의 상당 부분인 60% 이상이 상위 100개의 지갑에 집중되어 있어 이 암호화폐의 탈중앙화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또한 리플(Ripple) 회사는 65억 XRP를 계속 보유하고 있으며 그 결과 조정된 유통 공급량은 약 470억 토큰이 됩니다.

흥미로운 측면으로 XRP는 수수료 소각으로 인해 약한 디플레이션(가치 상승) 경향을 보입니다. 최초 1000억 토큰이 발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총 공급량은 현재 약 99, 982, 221, 902 XRP로 감소했는데 이것은 각 거래소 완료 시 발생하는 적은 수수료가 소멸되었기 때문입니다.

 

XLM(스텔라루멘)

스텔라 재단은 1000억 개의 XLM 토큰을 생성했습니다. 스텔라 네트워크가 출시된 후 5년 동안 XLM의 총 공급량은 매년 1%씩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인플레이션 메커니즘은 2019년 10월에 폐지되었습니다. 2019년 11월 스텔라 재단은 지분을 줄이기 위해 XLM 총 공급량에서 550억 개의 토큰을 제거했습니다. 총 공급량 500억 XLM이고 311억 9천만 XLM이 유통되고 있습니다. 

XLM 보유자는 스텔라 업그레이드 및 개선 제안에 대한 투표권이 없습니다. 스텔라 재단은 프로젝트 방향과 XLM 토큰 배포에 대한 광범위한 권한과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Pi(파이코인)

파이코인 총 발행량은 1000억 개이며 유통공급량은 8,293,965,686개이지만 3,219064,027개가 아직 락업되어 있으면 순차적으로 잠금해제 됩니다. 파이코인은 알고리즘에 의해 제어됩니다. 

파이코인은 주요 채택 이정표에 도달하면 주기적으로 채굴 속도를 낮추어 새로운 토큰의 흐름을 즉시 줄입니다. KYC를 아직 완료하지 않은 사용자나 귀속 일정이 적용되는 사용자가 채굴한 코인은 유통 공급량에서 제외됩니다. 

자주 발생하지는 않지만 일부 프로젝트에서는 일정량의 토큰을 소각하기 위한 스마트 계약을 설계하거나 거래 수수료가 공급에서 제외되는 메커니즘을 도입니다. 

메인넷이 완전히 오픈되면 사용자는 파이코인을 생태계 외부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KYC 완료 및 네트워크 앱 생태계와의 진정한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KYC 검증된 잔액만 유통량에 반영되도록 합니다. 미수령 또는 동결된 코인은 차감되므로 코인이 출금될 때까지 공급량이 눈에 띄게 감소합니다. 

채굴 속도는 사용자 마일스톤이 달성될 때마다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채굴 속도가 감소할 때마다 유통되는 신규 코인의 양이 줄어들어 비트코인의 반감기 모델을 모방하고 희소성을 높입니다. 

채굴된 파이의 상당 부분은 베스팅 일정의 적용을 받으며 특히 팀 및 기여자 보상은 유동적인 시장 진입을 지연시킵니다. 또한 잠재적인 잠재적인 미래 보상을 얻기 위해 더 긴 베스팅 기간을 선택하는 사용자들이 대규모 지분을 확보할 경우 공급량이 일시적으로 감소할 수 있습니다. 

유통 공급량 감소는 희소성을 증가시킵니다. 이것은 암호화폐 시장에서 가격 상승의 주요 요인입니다. 파이에 대한 수요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경우 시장 참여자들은 공급량 감소를 토큰의 미래 가치에 대한 강세로 볼 수 있습니다. 

베스팅의 작용에도 불구하고 파이코인 코어팀의 20% 할당량이 중앙화 논란을 일으키는 주된 이유가 있습니다. 비트코인과 같이 채굴로만 코인이 분배되는 완전한 탈중앙화 프로젝트는 초기 팀 할당량이 없습니다. 이에 비해 파이코인은 사전 할당 방식을 채택하여 팀이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잠재력을 갖게 됩니다.

코어팀이 전체 코인의 20%를 보유하게 되면 향후 파이코인이 탈중앙화된 거버넌스 시스템을 갖추게 될 경우 20%의 투표권을 사실상 확보하게 되어 다른 참여자들의 의사 결정권을 압도하거나 크게 좌우할 수 있습니다. 베스팅은 언제 코인이 풀릴지를 결정할 뿐 누가 그 코인을 보유할지에 대한 중앙 집중적 사실을 바꾸지는 못합니다.

 

결론

XRP는 대규모 기관 결제 시장을, XLM은 금융 접근성이 낮은 지역을 PI 코인은 대규모 개인 사용자 기반을 공략하며 각기 다른 시장을 포지셔닝하고 있습니다. 세 프로젝트는 모두 약 1~5초 내외의 빠른 거래 속도를 제공하지만 토큰 분배의 중앙 집중성(XRP 상위 지갑 집중, XLM 재단의 영향력, Pi 코어팀의 20% 할당)에 대한 우려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각 프로젝트의 고유한 토크노믹스(XRP 수수료 소각 기반 디플레이션, Pi의 반감기 모델)와 분배 전략은 미래 가치 변동 및 탈중앙화 거버넌스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핵심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파이코인 점진적 발행, 채굴 속도 감소

 

Related Posts

업비트 메타마스크 등록업비트 메타마스크 등록
업비트 개인 지갑 메타마스크 등록 후 입출금...
업비트에서는 자금 출처를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개인 지갑 등록 후...
Bitget Wallet 다운로드Bitget Wallet 다운로드
Bitget Wallet(비트겟 지갑) 설치와 보안
Bitget wallet(비트겟 지갑) 설치와 보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Bitget Wallet은 암호화폐를...
케이뱅크 앱 설치케이뱅크 앱 설치
케이뱅크 계좌 개설, 업비트 회원 가입 및...
업비트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본인 명의의 케이뱅크 실명확인 입출금 계좌가 필요합니다....

댓글 남기기